Java 3

[알고리즘] 백준 1463 자바 JAVA 동적프로그래밍

솔직히 말해서 여태 풀었던 문제들은 점화식을 이용해서 이전 계산 값을 가지고 푸는 문제였는데, 이번 문제는 조금 달랐다. (물론 생각의 전환 차이였고 같은 유형임) 이 문제는 메모이제이션이라고 해서 값을 적어둔다 이런 느낌의 문제다. 이게 사람 사고가 문제가 뭐냐면 중고등학교때 학교 학원에서 익힌 기출(?)에 의한.. 주입식.. 크흠 아무튼 사고 자체를 확장하지 않으면 아닌걸 알면서도 if문 써서 풀어보다가 결국 빠꾸치는 문제가 된다. 이 문제를 사고하는 방식은 지름길을 뒤늦게 찾는(?) 문제라고 보여졌다. 0과 1일때는 어차피 계산할게 없으니 0을 넣어주고 2부터 진행하는데 이전의 연산 횟수를 계속 업데이트 하되, 1번씩 연산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1번씩 연산했다고 가정하는 방식은 +..

알고리즘 2020.10.10

[JPA] 영속성 컨텍스트 생명주기

JPA에서 가장 중요한 것 1)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핑하기 2) 내부 동작 방식 영속성 컨텍스트 영속성 컨텍스트는 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이다.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고 보면 된다. EntityManager.persist(entity); 이 코드는 DB를 저장하는게 아니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코드이다. 이말이 무엇인가? 엔티티의 생명주기부터 살펴보자 1) 비영속 (new/transient) 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 2) 영속 (managed)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 3) 준영속 (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 4) 삭제 (removed) 삭제된 상태 비영속 상태란? //객체를 생성한 상태(비영속) Memb..

JPA 2020.10.08

[알고리즘] 백준 2579 JAVA 자바 계단 오르기 동적프로그래밍

이 문제를 처음에 접했을 때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 이유는 다들 그렇겠지만 규칙 때문이다. 이 규칙이 DP유형이 덜 익숙하게 되면 조건을 걸고 풀어야하는 착각을 하게 된다. DP를 쓰는 이유를 알고 가면 더 쉬워진다. DP는 이미 계산 했던 것들을 계산하지 않고 가져다쓰는 일종의 캐시 개념으로 작동한다. 계산했던것을 몇번이고 다시 계산하면 당연히 느려질 수 밖에 없으니 이를 방지하는 기법이다. 그런데 DP를 사용하려면 중요한 점은 규칙을 찾아야 된다는 점이다. 피보나치수열과 같이 뒤로 1, 2번째 값을 더하는 간단한 것들은 바로 머리에 들어오는데 이 문제는 그렇지가 않다. 일단 규칙이 막 있으니까 조건걸어야되나? 싶게 보인다. 일단 딱보니 1차원 배열을 이용하면 될 것 같다. 그러면 먼저 1부터 시작해서..

알고리즘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