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5

[Spring Boot] DB 접근 기술 및 인터페이스 구현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하고 수정하고 .. 주고 받으려면 DB에 접근해야한다. 과거에는 jdbc를 이용해서 개발을 했다. public class Jdbc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JdbcMemberRepository(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Override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Spring Boot 2020.08.07

[Spring Boot] spring Bean과 의존관계 DI

(이전 글과 이어집니다.) 먼저 서비스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촉발할 Controller가 필요하다.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 생성자에 @Autowired가 있으면 스프링이 객체를 만들고 컨테이너에 넣어둔다. 그렇게 되면 생성자 호출시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객체를 바로 주입한다. 이것을 의존성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 이라고 한다. 근데 문제는 이렇게만 하면..

Spring Boot 2020.08.06

[Spring Boot] Test를 통한 검증

우리가 다른 프레임워크를 포함해서 백엔드를 개발하고 API를 개발할 때는 확실히 작동하는 코드인지 검증이 되어야한다. 코드를 작성하고 직접 실행해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시간적 손해가 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Test 코드 작성법이 있다. Member.java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

Spring Boot 2020.08.05

Spring Boot 시작하기

그냥 잡담 부터 (..) 18년도 4월 막 군대를 전역하고 나서 2학년 2학기로 복학을 하게 되었다. 사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뭘 공부해야하지 하는 그런 상황에서 언어부터 다지고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다른거 할걸 그랬다는 생각이 .. 어떻게 보면 뭘 해야할지 몰랐다는 뜻이지. 그러다가 중요한지 안중요한지도 모르겠는 학점을 위한 공부를 추구하며 한 학기를 보내고 있었다. (학점은 성실도의 척도 정도 되려나) 그러나 워크샾이라고 하나? 학교 학과행사에서 일하다가 편입을 한 형을 만났다. 4년제 학위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어쩌다가 말을 트게 되었는데 이 형님은 웹쪽으로 이미 일을 하다가 온 사람이었다. 그땐 그냥 스쳐지나가는 형이라고 생각했는데 몇 주 뒤에 학교 개발동아리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Spring Boot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