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

[JPA]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DDL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자동 생성하는 기능이다. 데이터베이스 방언을 활용해서 데이터베이스에 맞는 적절한 DDL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DDL은 개발 장비에서만 사용하고, 생성된 DDL은 운영서버에서는 사용하지 않거나, 적절히 다듬 은 후 사용해야한다. Option Description create 기존테이블 삭제 후 다시 생성 (DROP + CREATE) create-drop create와 같으나 종료시점에 테이블 DROP update 변경분만 반영(운영DB에는 사용하면 안됨) validate 엔티티와 테이블이 정상 매핑되었는지만 확인 none 사용하지 않음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create와 update를 마음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테스트 서버에는 update또는 validate만 사용한다...

JPA 2020.10.11

[JPA] 엔티티 매핑 어노테이션

객체와 테이블 매핑: @Entity, @Table 필드와 컬럼 매핑: @Column, @Temporal, @Enumerated, @Lob, @Transient 기본 키 매핑: @Id, @GeneratedValue 연관관계 매핑: @ManyToOne,@JoinColumn 객체와 테이블 매핑 @Entity : @Entity가 붙은 클래스는 JPA가 관리하게 된다. 필수적으로 붙여줘야한다. 주의 해야하는 점은 기본 constructor가 필수적으로 있어야하고 final, enum, interface, inner class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저장해야하는 필드에 final 키워드가 붙으면 역시 사용할 수 없다. @Entity의 속성으로는 name이 있다. 이는 JPA에서 사용할 엔티티 이름을 설정한다. ..

JPA 2020.10.10

[알고리즘] 백준 1463 자바 JAVA 동적프로그래밍

솔직히 말해서 여태 풀었던 문제들은 점화식을 이용해서 이전 계산 값을 가지고 푸는 문제였는데, 이번 문제는 조금 달랐다. (물론 생각의 전환 차이였고 같은 유형임) 이 문제는 메모이제이션이라고 해서 값을 적어둔다 이런 느낌의 문제다. 이게 사람 사고가 문제가 뭐냐면 중고등학교때 학교 학원에서 익힌 기출(?)에 의한.. 주입식.. 크흠 아무튼 사고 자체를 확장하지 않으면 아닌걸 알면서도 if문 써서 풀어보다가 결국 빠꾸치는 문제가 된다. 이 문제를 사고하는 방식은 지름길을 뒤늦게 찾는(?) 문제라고 보여졌다. 0과 1일때는 어차피 계산할게 없으니 0을 넣어주고 2부터 진행하는데 이전의 연산 횟수를 계속 업데이트 하되, 1번씩 연산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1번씩 연산했다고 가정하는 방식은 +..

알고리즘 2020.10.10

[JPA] 영속성 컨텍스트 생명주기2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 데이터베이스당 하나 있어야됨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 엔티티 메니저를 통해서 작업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 데이터베이스 모든 변경은 트랜잭션 안에서 일어나야함 tx.begin(); // code try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101L); member.setName("HelloC..

JPA 2020.10.08

[JPA] 영속성 컨텍스트 생명주기

JPA에서 가장 중요한 것 1)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핑하기 2) 내부 동작 방식 영속성 컨텍스트 영속성 컨텍스트는 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이다.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고 보면 된다. EntityManager.persist(entity); 이 코드는 DB를 저장하는게 아니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코드이다. 이말이 무엇인가? 엔티티의 생명주기부터 살펴보자 1) 비영속 (new/transient) 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 2) 영속 (managed)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 3) 준영속 (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 4) 삭제 (removed) 삭제된 상태 비영속 상태란? //객체를 생성한 상태(비영속) Memb..

JPA 2020.10.08

[알고리즘] 백준 2579 JAVA 자바 계단 오르기 동적프로그래밍

이 문제를 처음에 접했을 때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 이유는 다들 그렇겠지만 규칙 때문이다. 이 규칙이 DP유형이 덜 익숙하게 되면 조건을 걸고 풀어야하는 착각을 하게 된다. DP를 쓰는 이유를 알고 가면 더 쉬워진다. DP는 이미 계산 했던 것들을 계산하지 않고 가져다쓰는 일종의 캐시 개념으로 작동한다. 계산했던것을 몇번이고 다시 계산하면 당연히 느려질 수 밖에 없으니 이를 방지하는 기법이다. 그런데 DP를 사용하려면 중요한 점은 규칙을 찾아야 된다는 점이다. 피보나치수열과 같이 뒤로 1, 2번째 값을 더하는 간단한 것들은 바로 머리에 들어오는데 이 문제는 그렇지가 않다. 일단 규칙이 막 있으니까 조건걸어야되나? 싶게 보인다. 일단 딱보니 1차원 배열을 이용하면 될 것 같다. 그러면 먼저 1부터 시작해서..

알고리즘 2020.10.08

[JPA] Spring 없이 간단하게 실습하기

import javax.persistence.Colum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Id; import javax.persistence.Table; @Entity // 이걸 써야 JPA가 사용하는 애구나 하고 관리해야겠다하고 인식함 //@Table(name = "USER") public class Member { @Id // pk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Column(name = "user_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

JPA 2020.10.08

[JPA] persistence.xml / DB 방언이란

JPA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설정파일을 설정해야하는데 이에 대한 내용을 기록해두기로 했다. 먼저 /META-INF/persistence.xml에 위치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식을 못한다. persistence-unit name으로 이름 지정하고, javax.persistence로 시작하는 것은 JPA 표준 속성이라고 보면 되고 hibernate로 시작하는 것은 하이버네이트 전용 속성이라고 보면 된다. 데이터 베이스 방언이란? JPA는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는다. ex) 1. 각각의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SQL 문법과 함수는 조금씩 다름 2. 가변 문자: MySQL은 VARCHAR, Oracle은 VARCHAR2 3. 문자열을 자르는 함수: SQL 표준은 S..

JPA 2020.10.08